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직접 자동차세를 체납한 후 카드로 납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2025년 기준 자동차세 카드납부 방법을 리뷰 형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진작 할 걸 그랬습니다!
자동차세는 매년 6월과 12월, 두 번 납부해야 하는데요. 바쁘다 보면 어느새 납부 기한이 지나 있는 경우가 많죠. 저도 12월 분을 깜빡했고, 2025년 1월 중순에 체납분을 납부하게 되었습니다.
📌 자동차세 연납이란?
자동차세는 원래 연 2회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1월 중에 1년 치 세금을 미리 납부하면 세금 일부를 할인해 주는 제도가 있어요.
2025년 기준 할인율:
- 1월 연납: 약 4.6% 할인 (가장 유리)
- 3월 납부: 약 3.8%
- 6월 납부: 약 2.5%
- 9월 납부: 약 1.2 ~ 2.5%
저는 1월 중순에 납부하면서 약간의 할인 혜택도 받았습니다. 이왕 낼 거, 조금이라도 아끼는 게 좋죠!
📝 신청 및 납부 방법은?
납부 방법은 다양합니다. 저는 위택스(WETAX)에서 신청하고 카드로 납부했습니다.
- 방문 납부: 시청, 구청, 주민센터 등
- 전화 신청: 관할 세무과에 문의
- 온라인 납부:
- 서울시 차량: 이택스(ETAX)
- 기타 지역: 위택스(WETAX)
- 은행 앱, 인터넷 지로, ARS 등도 이용 가능
Tip: 온라인 납부는 5분이면 끝납니다. 간편하게 고지서 조회, 결제까지 가능해요.
💡 체납 중에 차량을 매도하거나 폐차하면?
“선불로 냈는데 차량을 처분하면 손해 아닌가요?”
저도 걱정했지만, 남은 기간 세금은 일할 계산으로 환급됩니다. 즉, 연납해도 손해는 없어요. 안심하고 납부하셔도 됩니다.
📦 분납이 유리한 경우는?
자동차세가 연간 30만 원 이상이면 4회 분납(3/6/9/12월)도 가능합니다.
- 한 번에 목돈 내는 부담이 있는 분
- 소득이 불규칙하거나 자금 여유가 없는 분
신청은 관할 지자체 세무부서에 문의해 보세요.
💳 카드 납부 가능! 수수료와 할부는?
- 납부처: 위택스, 이택스, 인터넷 지로, 은행 앱 등
- 수수료: 대부분 없음. 일부 카드사 및 결제 시스템은 0.8% 부과
- 할부: 2~3개월 무이자 할부 가능 (카드사별 상이)
- 자동납부: 카드 자동납부 가능 (단, 유효기간/한도 초과 시 실패 가능)
저는 3개월 무이자 할부로 부담 없이 결제했어요. 카드 할부를 적극 활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총정리
- ✔️ 1월 연납 시 할인 혜택 가장 큼
- ✔️ 체납 후 납부해도 일부 할인 가능
- ✔️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납부 가능
- ✔️ 카드 납부 및 무이자 할부 활용 가능
- ✔️ 차량 처분 시 환급도 가능하니 부담 없이 납부하세요
자동차세, 미루지 말고 지금 바로 확인하고 납부해 보세요!
저처럼 늦게 납부하게 되더라도 불이익 없이 해결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