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귀농·귀촌·귀어 인구, 어디가 가장 많을까?
2023년 기준, 귀농인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경북 영천(140명), 귀어인은 전남 신안(20명)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농어촌 정착을 고민하고 있다면 이들 지역을 주목해 보세요!
💡 귀농·귀촌·귀어란?
- 귀촌인: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집과 일터를 옮겨 정착한 사람
- 귀농·귀어인: 농업 또는 어업에 실제로 종사하는 귀촌인
일반적으로 읍·면 지역은 농어촌, 동 지역은 도시로 분류됩니다.
🧑🌾 귀촌 인구 증가 현황
2023년 귀촌 인구는 42만 2,789명으로 3년 만에 반등하며 전년 대비 5.7% 증가했습니다.
귀촌 가구 수도 4% 증가한 31만 8,658 가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바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흐름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 인구 이동과 청년 귀농 트렌드
- 전체 인구 이동자 수: 628만 명 (2.5% 증가)
- 청년 귀농인 비중: 30대 이하 13.1%로 역대 최고
청년층의 귀농 증가에는 정부의 청년농부 지원 정책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 귀농·귀어 주요 지역
📍 귀농인 상위 지역
- 경북 영천 – 140명
- 경북 상주 – 138명
- 전남 해남 – 123명
🌊 귀어인 상위 지역
- 전남 신안 – 20명
- 충남 태안 – 60명
- 전남 여수 – 44명
📉 귀농·귀어 인구 감소 원인
전반적으로 귀농·귀어 인구는 줄어들고 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농어업에 종사하는 고령자의 은퇴
- 제조업, 복지업 등으로의 취업 이동
- 농업 취업자 감소
2023년 기준 50대 이상 고용률은 57.9%로 유지되었으나, 농업 분야 종사자는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 정부 대응 전략과 전망
정부는 2차 베이비붐 세대 은퇴와 청년 유입을 중심으로 귀농·귀촌 정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귀농·귀촌 정보 플랫폼 ‘그린 대로’ 운영
- 청년 농촌 보금자리 조성
- 지속적인 귀농 창업자금 지원
✅ 마무리
귀농, 귀촌, 귀어는 단순한 이주가 아니라 삶의 방식을 바꾸는 선택입니다.
변화하는 인구 구조와 정부의 정책을 잘 활용하여 성공적인 정착을 준비해 보세요.
청년 귀농, 은퇴 후 농촌 생활, 지역 선택 등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앞으로도 계속 이 블로그를 주목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