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주말농장 농막 설치 및 부대시설 비용 총정리
주말농장이나 소규모 텃밭을 운영하려는 분들에게 농막 설치는 필수적인 선택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농막 가격만 고려했다가, 실제 공사 과정에서 운반·설치 비용과 부대시설(정화조, 전기, 상수도) 공사 비용 때문에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실제 농막 설치 사례를 바탕으로, 설치 과정과 숨겨진 비용, 예상치 못한 변수까지 상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1. 농막 설치 및 부대시설 공사 개요
- 총 소요 기간: 약 6개월
- 포함 범위: 농막 설치 + 정화조·전기·상수도 공사
- 블로그 목적: 비용뿐 아니라 절차와 시행착오까지 공유하여, 농막을 준비하는 분들의 현실적인 로드맵 제공
⚠️ 농막 가격은 제품 종류·사이즈별로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농막 자체 가격을 제외한 비용만 다룹니다.
2. 농막 설치 비용
- 계약 후 설치 기간: 약 2개월
- 추가 비용 내역
- 운반 비용: 90만 원
- 크레인 비용: 70만 원
- 기초 작업(보강토·몰탈·보온덮개): 15만 원
- 세금
- 취득세: 38,090원
- 농어촌특별세: 3,800원
- 등록면허세: 9,000원
👉 농막 자체 비용 외에 최소 200만 원 이상은 추가 지출이 발생합니다.
3. 부대시설 공사 상세 비용
3.1 정화조 공사
- 비용: 450만 원
- 기간: 약 1개월
- 세금: 등록면허세 4,500원
3.2 전기 공사
- 비용: 90만 원 (선납)
- 지연 변수:
- 전봇대 추가 설치 필요
- 토지 사용 동의서 확보
- 한전 전봇대 재고 부족으로 2개월 대기 발생
- 추가 비용: 없음 (한국전력 부담)
3.3 상수도 공사
- 조건: 정화조 매립 + 가설건축물 신고 필증 필수
- 주의: 가뭄 시 상수도 연결 제한 가능
- 비용:
- 포장 구간: 130만 원
- 비포장 구간(약 50m): 1,657,690원
3.4 총 공사 기간
- 부대시설 공사: 약 4개월
- 농막 설치 포함 총 기간: 약 6개월
사실상 소형 주택을 짓는 수준의 시간과 노력이 들어갑니다.
4. 농막 가격 제외 총비용 정리
항목 금액
운반 | 900,000원 |
크레인 | 700,000원 |
기초 작업 | 150,000원 |
취득세·특별세·등록세 | 50,890원 |
정화조 공사 | 4,500,000원 |
전기 공사 | 900,000원 |
상수도 공사 (포장) | 1,300,000원 |
상수도 공사 (비포장) | 1,657,690원 |
총합 | 10,163,080원 (약 1,020만 원) |
👉 농막 자체 가격을 제외하고도 1천만 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5. 마무리 조언
- 지역과 지자체 조례, 공사 환경에 따라 비용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상치 못한 변수(전봇대, 상수도 조건, 토지 사용 동의 등)를 고려해야 합니다.
- 처음 진행할 때는 시행착오가 불가피하지만, 마무리 후에는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주말농장 농막 설치는 단순한 컨테이너 하나 들여놓는 일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작은 집을 짓는 과정입니다. 이번 가이드를 통해 현실적인 예산 계획을 세우고, 시행착오를 줄여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